기원전과 기원후를 동양에서는 어떤 식으로 구분했나요? 안녕하세요. 기원전과 기원후의 기준은 예수그리스도의 탄생과 관련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예수의
안녕하세요. 기원전과 기원후의 기준은 예수그리스도의 탄생과 관련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예수의 탄생 전은 기원전이고, 탄생 이후는 기원후라고 하는데,여기서 궁금한 건이 기원전과 기원후는 서양에서의 기준 아닌가요?중국 역사에서 위, 촉, 오나라의 삼국시대는 약 220~280년이라고 기록돼 있습니다.그렇다면 동양에서는 어떻게 서양의 기준을 따르게 된 건가요?동양 역사도 서양 역사처럼 기원전과 기원후를 나누게 되는 배경이 있나요?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동양의 한자문화권(한국, 중국, 일본, 몽골, 베트남 등등) 경우 그레고리력과 달리 '60갑자'나 혹은 중국이나 자국 중심으로 하는 '연호' 를 채택해서 사용했습니다.
예를 들어서 1592년을 60갑자의 '임진년', 명나라 연호로는 '만력 20년', 조선왕조실록에서는 '선조 20년', 일본 연호로는 분로쿠 원년 이렇게 표기했지요.
또 이 밖의 일부 불교 국가의 경우 석가모니께서 열반하신 해를 '불멸기원'으로, 일본의 경우 진무 덴노가 즉위한 '황기' 라는 별도의 기년법을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중앙아시아 및 이슬람권 국가에서는 창시자 무함마드가 메카에서 메디나로 옮긴 헤지라를 기준으로 하는 '이슬람력' 을 사용하기도 하구요.
이렇게 동양과 서양의 기년법이 차이가 나다가 19~20세기 근대화 과정에서 그레고리력을 국제 기준으로 사용하기 시작했고 현대에 이르고 있습니다.
물론 여전히 일부 국가들에서는 그레고리력외에 다른 방식으로 기년법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당장 일본만 하던라도 현 레이와 덴노가 재위하고 있어서 2025년 혹은 레이와 7년 이렇게 표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