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동서대 간호 학종으로 지원할건데 제가 다니고 있는 학교 표준편차 보니까 8에서 14정도던데
학종으로 지원할건데 제가 다니고 있는 학교 표준편차 보니까 8에서 14정도던데 좀 더 유리할까요?
학종 준비하면서 표준편차까지 찾아보신 거 보니, 합격에 조금이라도 유리한 길을 찾고 싶으셔서 신경 많이 쓰셨을 것 같아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학교 내신 산출에서 표준편차(8~14)는 분명 의미가 있습니다. 하지만 대학마다 반영 방식이 달라서 “무조건 유리하다”라고 보긴 어려워요.
표준편차가 크다는 건, 같은 등급이라도 학생 간 점수 차이가 크다는 뜻이에요. 이런 경우 상위권 학생은 실제로 더 높은 성취도를 보였다고 볼 수 있어서, 일부 대학은 이를 반영해 내신을 조금 보정해 줍니다. 특히 학종에서는 단순 등급뿐 아니라 학교 환경·내신 난이도·학생부 서술형 기록까지 함께 보니까, 표준편차가 크면 ‘해당 학교에서 내신 따기 어렵다’는 맥락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어요.
다만 중요한 건 대학별 입학처 입장이에요.
어떤 대학은 학교별 프로파일을 분석해서 표준편차를 반영합니다.
어떤 대학은 그냥 등급만 정량 평가합니다.
학종의 경우는 특히 교과 성적을 정량으로만 보지 않고, 활동·세부능력특기사항까지 함께 평가하니까, 단순히 표준편차만 보고 “유리하다”라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정리하면, 표준편차가 큰 학교 학생이라면 상대적으로 긍정적으로 볼 여지는 있다. 하지만 학종에서는 생활기록부 서술 내용, 활동의 진정성, 전공적합성 등이 훨씬 더 큰 비중을 차지한다.
실제 합격 사례에서도, 같은 학교에서 내신이 조금 부족했지만 표준편차가 큰 환경 + 활동 기록이 잘 드러나서 학종으로 합격한 경우가 많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