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화 디자인의 변화 일상과 감각의 한국디자인 문화사는 한국인의 삶을 형성한ㅇ 대표적인 물건들의 디자인을
일상과 감각의 한국디자인 문화사는 한국인의 삶을 형성한ㅇ 대표적인 물건들의 디자인을 통헤 한국 근현대사의 문화적 변화를 탐구하는 책입니다 저자 조현신은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 전문대학원 교수로 채직중이며, 한국 디자인 역사 연구자로서 다양한 저서를 집필하였습니다 내용 요약 이 책은 한국인의 일상과 감긱을 형성한 15가디 대표적인 물건들의 디자인을 중신으로 한국 근현대사의 문화적 변화를 봅니다1부 사물그릇화장품전화기자동차2부 정보 책잡지신문광고ㅍ퍼스타ㅓ
1883년은 태극기가 국기로 제정되고 1884년에는 갑신정변이 일어났으며, 이때 우정국이 설치되고 우표를 처음으로 발행/최초의 민간출판사인 광인사가 설립되었다.
1886년,한성주보가 창간되고 여기에 우리나라 최초의 본격 상업광고인"세창양행"광고가 실리기 시작하였다.
한반도를 놓고 열강이 각축전을 벌이는 가운데 주도권을 쥔 일본은 우리나라의 산업발전을 고의적으로 방해하면서 개화의 노력을 짓눌렀다.
1910년 한일합방으로 우리 문화의 쇠퇴와 함께 수많은 공예 장인들이 사라져 갔다
임숙재,이순석,강창원,한홍택등과 같은 선각자들이 일본으로 유학하여 선진디자인을 국내에 소개하였다.
(후에 우리나라 디자인 교육의 기초가 되었다.)
일제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태극,한복,거북선,호랑이,지게,대나무,국화,버드나무,백두산,금강산 등 각종 문양이나 색채, 스타일에서 한국적 소재를 등장시켜 한국적 조형성을 찾아 나갔다.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산업구조가 가내수공업으로 수출의 많은 부분을 공예품이 차지하였다.
1950년 6.25(한국전쟁)후 대량 유입된 미 군수품과 전후의 원조물품이 주 생활용품으로 미국문화와 미국제품이 빠르게 흡수되었다.
1955년 국내최초의 조립자동차 "시발자동차"가 생산되었고,1958년 한국공예시범소 설치가 되어, 한국사회의 산업육성, 가난극복목적의 디자인 진흥프로젝트로서 디자인 지원과 계몽사업,대학 교육 프로그램과 디자인 교수 해외 연수 프로그램등을 시행하였다.
1959년에는 우리나라 제품 디자인사에 한 획을 그은 우리나라 최초의 라디오인 금성사 a-501이 생산되었다.
1961년에 일어난 군사혁명으로 정권을 잡은 군부는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수립해 박정희 대통령의 의도에 따라 수출품 디자인의 질적향상에 디자인의 역활을 크게 중요시 되었다.
기업들의 내부에 제품디자인 부서들이 생기고 대학들에 디자인 관련학과들이 신설되고 한국공예디자인연구소 대한민국 상공미술전람회 개최 한국수출품포장센터설립 한국디자인포장센터설립등 사회내부에 디자인과련 전시회 및 단체들이 생겨났다.
또한 이 때는 정부의 관광 진흥정책에 맞추어 관광포스터들이 많이 제작되었다.
1962년에는 우리나라 최초로 전자제품인 라디오를 수출하고 1966년 국내 최초로 금성사에서 흑백tv를 생산,1967년 국내 최초로 금성냉장고를 생산함으로써 가전제품이 가정마다 널리 보급되기 시작했다.
또한 경부고속도로 완공으로 전국이 일일 생활권에 들게 되었으며 서울지하철 1호선의 개통으로 한국성장의 위력을 보여주었다.

정부 주도 디자인 진흥사업은 퇴조가 되고 대기업들의 디자인 사업활성화 되었던 시기이다.
Ci 도입, 기업별 브랜드와 고유모델제작, 상업적 디자인 활성화 되었고, 86 아시안 게임과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88 서울올림픽 게임 등이 성공리 유치로 인해 또한번 디자인이 발전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개방정책과 국제대회 유치로 서구에 고유한 우리문화를 보여야 한다는‘한국적’디자인에 대한 강박관념을 갖았던 시기이기도 하다.
사회주의 몰락과 함께 탈냉전시대 도래되고 무한경재시대, 세계화로 급속한 시장개방은 한국경제를 몰락 , IMF체제에 들게 된다. 김대중정부는 한국의 디자인을 첨단제품과 지식정보 사업중심으로 재편, 산업디자인 발전 5개년 계획을 추진하는가 하면 산업디자인포장개발원(한국디자인센터 전신)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의 디자인 개발에 박차를 가하였다.
또한 수작업에만 의존하던 기존의 방식에서 컴퓨터의 보급으로 전산화가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컴퓨터 그래픽이 가미된 각종 영화와 애니메인션이 제작되어 새로운 영상디자인의 시대가 개막되었다.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한 사이버 스페이스가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공간으로 등장하였다.
쇼핑몰이라든지, 웹진 , 인터넷 광고 등 새로운 디자인분야가 생겨났다.
2000년 세계그래픽단체협의회 밀레니엄 서울대회,2001년 세계산업디자인단체협의회 총회 등을 성공적으로 개최, 또한 2002년 한,일 월드컵까지 성공적으로 치룸으로써 한국 디자인이 세계 속에 그 위상을 확연하게 드러나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식민지와 독재, 후발 산업화 국가를 거치며 서구와는 다른 디자인역사를 가지고 있다.
식민지 상황에서 비롯된 전통문화의 단절, 미국을 통한 근대 디자인의 이식, 중앙정부를 통한 근대화정책으로 인위적으로 조성된 일종의 먹고살기위한 계몽사업의 일부분이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