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미성년자 혼숙 관련 회사 자체 징계 호텔에서 근무 중인데 실수로 신분증을 확인 하지 못 한 채
미성년자 혼숙 관련 회사 자체 징계 image
호텔에서 근무 중인데 실수로 신분증을 확인 하지 못 한 채 체크인을 시켰고 저는 기소유예 처분을 받았습니다. 1/4 현재 회사는 과징금 관련 처분을 기다리고 있습니다.아마 감경 받아 15일 300만원 정도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 일로 회사에서는 징계 위원회를 열어서 저에 대한 징계를 내린다고 합니다.아마 근무 환경상 정직 같은건 아니고 일정 기간 월급 감봉을 할 것 같습니다.1.이미 양벌 규정으로 저는 기소유예를 받았는데, 회사 차원에서  징계를 할 수 있나요?2.월급 감봉을 한다면 최대 기간 + 금액 범위 등이 대략 어떻게 될까요?3. 이 사건이 있기 전부터 3월에 그만 두려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만약 6개월 월급 감봉이라고 한다면, 그 기간을 채우지 못 하고 퇴사시   남은 기간의 감봉 금액을 제가  회사에 지급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하루 이틀 일한 것도 아니고 3년 넘었는데 참... 허탈하네요
이 상황에서 관련 법적 사항을 고려하여 답변드리겠습니다.
1. 회사의 징계 가능 여부: 기소유예 처분을 받았다고 해서 회사 차원에서 징계를 면제받는 것은 아닙니다. 기소유예는 법적으로 처벌을 유예하는 조치일 뿐, 회사의 징계 권한을 제한하지 않습니다. 회사는 별도로 내부 규정에 따라 징계를 내릴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징계위원회에서 판단한 결과에 따라 적절한 처분을 내릴 수 있습니다. 다만, 징계가 과도하거나 부당한 경우에는 법적으로 다툴 여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2. 월급 감봉의 최대 기간과 금액: 월급 감봉은 보통 회사 내의 인사 규정에 따라 결정됩니다. 보통 감봉의 범위나 기간은 회사의 정책, 근로계약서, 내부 규정에 의거하여 설정되며, 과도한 감봉은 부당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감봉 기간은 최대 3개월에서 6개월 정도로 설정되며, 감봉 금액은 통상적으로 월급의 10~30% 범위 내에서 결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는 회사의 내부 규정과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3. 월급 감봉 기간 중 퇴사 시 잉여 금액 지급 여부: 월급 감봉이 정해졌다고 하더라도, 감봉 기간 중 퇴사를 한다면 잉여 금액을 지급할 의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회사와의 근로계약서, 인사 규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퇴사 전에 감봉이 적용된 기간에 대한 금액을 회사가 요구할 수는 있지만, 법적으로 불합리한 요구는 당사자가 법적으로 이의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감봉 금액이 미리 합의된 기간에 대해 이루어진 것이므로, 퇴사 시점에서 남은 기간에 대해 추가적인 부담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퇴사 전에 회사와의 계약서와 인사 규정을 잘 살펴보시고, 필요한 경우 법률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